< 국가별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비율(단위: %) >
구분 한국 일본 미국 독일 우간다
심뇌혈관질환 | 23 | 27 | 30 | 37 | 10 |
암 | 30 | 30 | 22 | 26 | 9 |
만성호흡기질환 | 6 | 9 | 9 | 6 | 2 |
당뇨병 | 4 | 1 | 3 | 3 | 2 |
그 외 만성질환 | 17 | 15 | 24 | 19 | 11 |
자료: WHO. Noncommunicable diseases country profiles. 2018.
심뇌혈관질환, 암, 만성호흡기질환, 당뇨병은 현대 전 세계인의 4대 사망원인이다. 주요 사망 원인으로 명시된 4 가지 질병은 오늘날 우리들의 평범한 식생활에서 비롯된다. 바로 당질 과다 섭취이다. 우리는 하루 세끼 식사로, 혈당치가 올라가기 쉬운 흰쌀밥, 밀가루로 만든 빵이나 면류를 많이 먹는다. 매일매일 다량의 당질이 포함된 청량음료를 마시고 설탕과 흰 밀가루로 만든 과자를 간식으로 먹는다. 이러한 식생활을 반복하면서 하루에도 몇 번씩 혈당치를 높이다 보면 온몸의 혈관이 조금씩 손상된다. 급기야는 혈관에 치명적인 결함이 생겨 어느 날 병에 걸렸음을 알게 된다. 거듭되는 당질 과다 섭취가 암과 심근경색, 뇌경색 등의 무서운 질병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처럼 위험한 식생활을 바꾸고 주요 사망 원인에 해당하는 모든 질병을 예방할 해결책이 바로 당질 제한식이다.
당질 제한식은 원래 당뇨병 치료식으로 시작되었다. 당뇨병, 대사증후군, 비만, 고혈압 등 당뇨병과 관련된 질병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당질제한식은 쌀, 밀, 감자 등에 많이 함유된 당질을 가능한 한 섭취하지 않는 식이요법이다. 밥, 빵, 면류 등의 주식 대신 단백질과 지방질을 많이 포함한 부식을 충분히 먹는 식사이다. 평상시 운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남성은 하루 1,850~2,250 kcal, 여성은 1,450~1,700kcal를 섭취 기준으로 삼는다. 당질 섭취 목표량은 한 끼에 10~20g으로 정해져 있지만 굳이 계산하지 않아도 된다. 쌀, 밀 등의 곡물과 감자, 호박 등 당질이 많은 일부 식품을 기억해 두었다가 그 식품만 피하면 된다.
당질 제한식의 가장 큰 장점은
☞ 당뇨병 환자의 식후 고혈당을 개선하여 정상 수준으로 조절하는 데 큰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지극히 단순하다. 식품에 포함된 3대 영양소인 당질, 지방질, 단백질 중 오직 당질만이 혈당치를 높이기 때문이다.
미국 당뇨병 학회(ADA)에 따르면 당질은 음식을 통해 섭취되고 소화·흡수되면 100% 혈당으로 변하지만 단백질과 지방질은 혈당으로 변하지 않는다. 더욱이 당질은 섭취 직후부터 혈당치를 급격하게 상승시키며 2시간 이내에 우리 몸에 거의 모두 흡수된다. 다시 말해 단백질과 지방질은 아무리 먹어도 식후에 혈당치가 상승하지 않지만 당질은 먹은 만큼 그대로 혈당치를 올린다.
☞ 당뇨병 치료에서 당질 제한식은 3대 합병증인 망막증, 심장병, 신경장애뿐 아니라 뇌경색, 심근경색 등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도 매우 크다.
☞ 당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서 당뇨병 전초병으로 불리는 대사증후군, 고인슐린혈증, 비만 등의 당뇨병과 관련한 질병 치료에도 그 효과를 발휘한다.
☞ 또한 체중 감소와 체내 지방질 상태 개선에도 매우 효과적이며 현대인에게 가장 흔한 병인 꽃가루 알레르기와 아토피성 피부염, 심상성 건선, 역류성 식도염, 천식, 편두통, 우울증 등이 계산되는 효과가 있음을 여러 과학적 연구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 탄수화물 = 당질 + 식이섬유 식이섬유는 인체에서 소화가 되지않아 혈당치를 높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당질제한식에서 탄수화물이란 탄수화물식품이 함유하고 있는 식이섬유량을 제외한 순탄수화물(Net-carb), 즉 당질을 말합니다. |
에베 코지의 《내 몸에 독이 되는 탄수화물》에서
지금은 체중감량법으로 더 잘 알려진 당질 제한 다이어트(Low Carbohydrate Diet)는 원래는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식이요법으로 개발되었다. 제 1형 당뇨병을 가지고 있었던 미국의 리처드 K 번스타인(Richard k. Bernstein) 박사가 자신의 병을 고치기 위해 개발하였으며, 번스타인 박사와 마찬가지로 당뇨병과 대사증후군 병력이 있었던 에베 코지 박사는 6개월간의 당질 제한식으로 자신의 건강을 회복하였다. 이후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당뇨병에선 밥 먹지 마라》, 《 당질 제한식 다이어트 》, 《 내 몸에 독이 되는 탄수화물》 등의 책들과 식단 조절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많은 환자들을 치료하고 있다.
에베 코지 박사가 제안하는 3가지 수준의 당질 제한식
슈퍼 당질 제한식 한 끼 기준 10~20g의 당질 섭취, 하루 목표 30~60g
표준 당질 제한식 일일 당질 섭취량 70~100g 목표
기초 당질 제한식 일일 당질 섭취량 110~140g 목표
번스타인 박사는 아침 6g ,점심 12g, 저녁 12g, 하루 총 30g의 탄수화물 섭취량을 제안한다. 하루 30g의 탄수화물 섭취량은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서, 외부로부터 투여되는 인슐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인슐린의존성을 낮출 수 있는 탄수화물 섭취량이라는 것이다. *새벽 현상(Dawn Phenomenon) 때문에 아침에 탄수화물 섭취 권장량이 조금 더 낮은데, 인슐린 분비에 문제가 있는 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아침에 많은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새벽 현상 때문에 높아져 있는 혈당을 더 급속하게 올릴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새벽 현상(Dawn Phenomenon)
우리 몸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끊임없이 활동하며 다양한 호르몬을 만들어 낸다. 일반적으로 오전 4시에서 오전 8시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분비되며 이때 만들어지는 코르티솔, 성장호르몬, 아드레날린 등의 호르몬들이 간에서 포도당 합성을 증가시켜 혈당 수치를 높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새벽현상(Dawn Phenomenon)이라고 한다
'왜 아플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식, 내장지방, 공복 (2) | 2024.11.11 |
---|---|
천식·꽃가루 알레르기·알레르기성 비염-당질과다는 알레르기를 악화시킨다 (2) | 2024.11.02 |
고기먹고 껌씹고 스트레스 날리자. (6) | 2024.10.24 |
스트레스와 부신, 장(Gut), 감염 (2) | 2024.10.23 |
부신피로와 스트레스 호르몬 (2)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