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907076764712300405968261e9533d11cad1f6a8" / 스트레스와 부신, 장(Gut), 감염
본문 바로가기
왜 아플까

스트레스와 부신, 장(Gut), 감염

by belly fat 2024. 10. 23.
반응형

◎ 부신은 스트레스 반응에 가장 책임이 있는 기관이다. 또한 우리의 건강 전반과 면역계를 제대로 작동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강과 질병은 흑백으로 나눌 수 없다. 넓은 스펙트럼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많은 경우에 회색 구역에 포함되는데, 이때 어떤 장기는 기능 저하 상태일 수도 있고 혹은 병든 상태일 수도 있다. 이 점이 바로  부신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한 이유인데, 보통 기존의 전통 의학만을 공부한 의사들은 부신 기능을 검사하고 평가하지 않거나, 아직 이를 위한 도구가 마련돼 있지 않아 보인다.

 

부신 호르몬에는

알도스테론: 혈압을 조절하도록 돕는 호르몬. 너무 많이 만들어지면 콩팥은 소변으로 나트륨을 내보내지 않아서 혈압이 오르게 된다.

DHEA: 부신에서 만들어지는 전구 호르몬. 혈당과 지질을 조절하는 것을 도와주고 뼈를 건강하게 해준다. 여성에게 있어서 부신은 DHEA로부터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을 만들게 해 준다. 남성에서 DHEA가 쉽게 테스토스테론으로 바뀌진 않지만 지질, 혈당, 뼈에 있어서는 여성에서와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효과를 낸다.

코르티솔: 가장 강력한 스트레스 호르몬으로서 이 호르몬이 전혀 없으면 죽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DHEA는 남녀 모두에게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당의 균형을 잡아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구 호르몬으로 체내 호르몬 활동성을 높여준다. DHEA가 활성화시키는 특정 호르몬은 안드로겐(남성호르몬)이다. 안드로겐은 뼈와 근육을 형성하도록 돕는데 골다공증과 근육량의 손실을 막아준다는 점에서 노화와 관련해 특히 중요하다. 여성들에게 있어서 부신이 건강하여 충분한 양의 DHEA를 생산토록 하는 것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좋다.

 

지속되는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면 DHEA는 코르티솔 수치가 떨어지기 전에 가장 먼저 고갈된다. 만성 스트레스는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떨어트리는데 이는 DHEA 생산량이 줄었기 때문이기도 하며, 스트레스가 테스토스테론을 에스트로겐으로 전환시키는 아로마타제라는 효소의 스위치를 켰기 때문이다.

 

DHEA는 T 세포로부터의 염증성분자의 방출을 억제하고, 테스토스테론은 활성화된 면역세포를 죽임으로써 통제 범위 밖에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DHEA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평가해서 그 수치가 낮을 경우 스트레스관리법과 보충요법을 이용해서 치료해야 한다. 부신을 건강하게 만들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스트레스를 받아 아프게 되는 그 과정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더욱 더 주의 깊게 자신을 들여다보고 심호흡과 이완하는 기술을 익혀서 스트레스 반응이 당신을 꼼짝달싹 못하게 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당신의 스트레스 호르몬의 균형을 잡도록 도와줄 것이다

 

스트레스, 장 건강 그리고 면역계
스트레스는 장내의 환경을 바꾸고 장의 생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와 과민성대장증후군,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질병은 확실하게 연결되어 있다. 면역계의 70%가 소화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장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소화계 건강을 유지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소화관 내에 유익균을 적정량 갖고 있도록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장벽형성세포들을 건강하게 하는 것인데, 장벽형성세포들은 모든 소화관을 따라 감싸고 있으면서 혈관으로의 통과 물질을 조절한다.

 

스트레스는 소장 내의 유익균의 숫자를 줄이고 유해균을 과도하게 늘린다. 스트레스는 분비성 IgA(유익균을 강하게 유지하고 생성해 주며 유해균과 효모를 퇴출시키는)라고 불리는 면역 분자를 직접적으로 억제한다. 또한 아드레날린이나 노르에피네프린의 장내 방출을 야기해서 직접적으로 유해균들이 증식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스트레스는 소화관 상피세포의 투과도를 증가시켜서 유해균과 세균성 항원이 체내로 스며들기 쉽게 한다. 이 장누수현상은 음식 속의 단백질이 혈관으로 스며들게 해서 면역계를 자극하고 염증과 새로운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혹은 과민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스트레스와 감염

안타깝게도 당신이 걸렸던 모든 바이러스성 질병은 약간의 바이러스 분자를 체내에 남겨놓는다. 이런 모든 바이러스는 스트레스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이 면역계를 억제하게 될 때 재발동하기 때문에 감염과 싸워 내야 할 때 이를 더 어렵게 만든다.

심각한 스트레스는 세포면역의 억제를 불러일으킨다. 이는 바이러스가 체내 조직에 자리 잡게 만든다. 많은 자가면역질환들이 감염에 의해 촉발된다는 증거가 있기 때문에 체내에 바이러스가 자라나게 놔두는 것은 스트레스로 하여금 자가면역질환을 발생시키거나, 이미 발생한 것을 악화시키는 일이 된다. 여기에는 감정적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흡연, 음주 그리고 나쁜 식단 등 모든 건강하지 못한 삶의 방식에서 오는 심각한 물리적 스트레스도 포함된다. 면역계를 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이러한 바이러스 분자들의 재활성화를 억제하는 방법이다.

 

우리는 인생에 있어 스트레스 수치에 대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휴식 체계를 가동하고, 건강에 나쁜 역할(만성 스트레스에 의해)을 하는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의 작동을 꺼버릴 방법을 알아보자.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은 꼭 필요할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때에는 대기한 채로 머물러 있어야 한다. 
오랜 시간 동안 우리는 자율신경계는 자율적이라고 믿어왔다. 그러나 1930년대 초반에 한스 셀리에는 스트레스 반응의 작동 방식을 구체적으로 밝혀냈는데,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과 자율신경계에 대한 영향은 음식이나 생활 조건과 같은 환경적 측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히말라야 산속 동굴에 사는 수도승이 명상을 통해 체온을 조절할  수 있었던 것은 명상이 혈관을 이완시키고 팽창시킴으로써 더 많은 혈액이 몸속을 타고 돌아 따뜻하게 느끼게 해주기 때문이다. 혈압, 심장박동, 체온 그리고 면역계와 같은 몸의 기능들을 실제로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심신의학은 통합 의학의 한 부분에 속하는 학문이다.(기능의학 또한 통합 의약의 또 다른 분과 학문이다.)

심신의학은 생각, 느낌, 감정이 어떻게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건강이 영혼과 감정적 행복에도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학문이다. 정기적으로 명상, 유도된 휴식법(Guided Relaxation), 유도된 심상요법 (Guided Imagery)과 같은 심신요법을 실천하는 것은 당신과 당신의 건강에 강력한 긍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심신요법을 시작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잇점은 우선 어떠한 상황에 대하여 몸이 다른 종류의 반응을 할 수 있게 되어서, 손상을 주는 호르몬을 작동시키는 대신 내면의 세계를 균형 잡히게 해 준다. 이는 면역계 문제와 같이 그 어떠한 만성질환도 예방하거나 역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중요한 점은 이런 기술들을 통해 당신의 몸으로 얼마나 많은 양의 스트레스가 흘러 들어오고 있는지를 자각하게 해줄 것이며, 이러한 자각은 당신이 인생을 어떻게 사는지 어떤 일들이 당신에게 상처 주고 있는지 등을 파악해서 어떤 변화를 일궈내야 하는지를 알게 해 줄 것이다.

 

심신 요법을 익히기 시작하면 그 즉시 기분이 한결 나아진다. 왜냐하면 본인 스스로를 위해 무언가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당신은 주변 사람들만 챙기는 대신 당신 자신을 보살피게 된다. 건강에 있어 주도적이게 되는 것이다.  자기치유는 자율신경계를 균형 잡는 데서 오는 이점을 제외하고도 그 자체로 치유력이 있다고 한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신경계의 반응 때문이다. 당신 스스로가 스스로를 고칠 수 있는 사람이란 점을 깨닫는 것이 바로 회복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스스로를 더 잘 이해하고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단어, 그림, 움직임, 명상 그리고 시각화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은 스스로가 지고 있는 짐과 스트레스에 대한 자각에 도움이 되며, 표면으로 끌어 올려서 그 스트레스에 무엇인가를 할 수 있게 한다. 스스로에 대한 앎은 당신의 몸을 살펴보고 이해하며 어떻게 당신 주변의 여러 스트레스 요인에 반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주고 이끌어줄 것이다.  이는 당신이 당신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굉장히 신나는 일이다.

 

수년 전 나는 불행했지만 왜 그런지는 잘 몰랐다. 심신의학센터에서 활동적이고도 조용한 명상 요법, 유도된 심상 요법(Guided Imagery), 생체 자기 제어, 자기 인식을 위한 그림 그리기와 글쓰기 이용법 등의 기술을 연습하면서 스스로를 들여다보았다. 놀라웠다. 나의 불행이 내 안에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 누구와도 관계가 없었다. 내 스스로를 찾을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행복을 위한 필요한 변화를 이뤄내기 위해 나만의 길과 답을 결정해야 했다. 이러한 심신요법을 요즘도 연습하고 있다. 당신도 이렇게 할 수 있다.

 

 

 

수잔 블룸의 《면역의 배신》에서

반응형

'왜 아플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비만-내 몸에 독이 되는 탄수화물  (6) 2024.11.01
고기먹고 껌씹고 스트레스 날리자.  (6) 2024.10.24
부신피로와 스트레스 호르몬  (2) 2024.10.22
스트레스  (2) 2024.10.21
자연치유력  (2) 2024.10.20